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아파트 라이프48

이 겨울 아파트 화재에 대비하는 방법 올 겨율 잦은 아파트 화재 소식이 들려온다. 우리나라는 공동주택이라는 밀집된 구조의 주거 형태를 가지고 있다 보니 화재가 나면 내 집 뿐 아니라 다른 집까지 연쇄적으로 문제가 일어나 화재에 아주 취약한 구조를 띄게 된다 . 얼마 전 일어났던 안타까운 화재사건인 도봉구 아파트 화재사건도 참으로 안타까운 사례이다. 3층 작은 방에서 담배로 인해 화재가 시작되었고 결국 그 불길은 위로 치솟아 4층으로 가게 되었고 계단으로 탈출을 하지 못했던 가족은 창문을 통해 마지막 탈출을 시도했지만 결국 1명이 사망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또한 더 윗층 세대에서는 계단을 통해 내려오다가 연기로 인해 질식사를 하는 사례도 있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79/0003848209?sid=1.. 2023. 12. 30.
아파트 크리스마스 트리 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법적 책임 속 결정은? 비로소 연말연시가 다가왔다. 이렇게 연말이 다가오면 관리사무실에서 가장 고민이 되는 것 중 하나가 단지 내 크리스마스 장식이다. 옆 아파트는 이렇게 했다더라 얼마를 들였다더라 작년에 이렇게 했었는데 올해는 어떻게 할거라더라 등등 입주민 사이에서도 말들이 많다. 관리비라는 것이 쓴 만큼 부과되는 것이라 당연히 이쁘고 멋있게 트리 장식을 하고 싶어도 또 그 설치로 인한 관리비 인상으로 입주민 부담을 주기가 쉽지 않으니 입대의에서도 선뜻 결정이 쉽지 않다. 그래서 연말이면 항상 크리스마스 트리로 이야기가 많은데 사실 실상에선 이 크리스마스 트리 장식의 설치 범위를 어디까지 할꺼냐에 따라 전기공사업법에 위법이 되는 행동이 될 수도 있어 현장에선 애로사항이 많다. 트리 장식을 하려면 전기를 꽂아 불을 밝혀야 하는.. 2023. 12. 11.
아파트 1층 사는데 엘리베이터 관련 비용 꼭 내야 하나?? 아파트 1층에 사는 입주자들 혹은 2층에 살지만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지 않는 사람들은 엘리베이터 관련 비용을 꼭 내야 할까? 승강기 안전관리법에 의거 24년차가 된 아파트에서는 거의 대부분 엘리베이터를 교체 해야만 하게 되었다. 그건 엘리베이터를 안전하게 이용하기 위해 추가된 법적 안전 조치때문이다. 아무튼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를 교체하려니 아파트 입장에서는 금액이 많이 드는 공사를 진행해야 하고 그 부담은 오롯이 입주자들의 몫이 되었다. 우선 아파트에서 엘리베이터에 소요되는 비용을 나눠 보자면 1. 엘리베이터 전면 교체시 엘리베이터 폐기/제작/설치 비용 2. 엘리베이터 운행시 유지관리 비용(월 점검 비용-외주업체) 3. 엘리베이터 법적 안전점검 비용 4. 엘리베이터 운행에 해당하는 공동 전기 비용 으로 .. 2023. 11. 16.
관리규약 개정 시즌이 돌아왔다!! 2023년 관리규약 개정 시즌이 돌아왔다 매년 바뀌는 공동주택관리법과 사업자선정지침 등 공동주택에 필요한 법등을 넣은 관리규약 준칙이라는 것을 각 지자체 별로 발표 하고 그것들의 개정 권고안을 각 아파트에 통보한다. 그러면 관리소장은 규약을 확인한 뒤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에 안건으로 올리고 개정이 필요하면 대표자들과 심의를 통해 내용을 결정짓고 의결을 받는다. 그리고 나서 해야 할 일은 관리규약 개정 동의 접수를 입주민의 과반수 이상 받아야하는데 그러려면 3단 비교표라고 해서 지자체 관리규약 준칙-현 아파트 관리규약-개정될 관리규약까지 넣어서 입주민에게 배포하게 된다. 그리고 입주민이 개정내용을 잘 알 수 있도록 주요 개정 내용을 게시판이나 홈페이지에 공고를 붙이고 이런 내용을 파악할 때쯤 아파트 선거관.. 2023. 11. 2.
우리 아파트가 도색, 즉 외벽 페인트칠을 한다면 ... 세대에서 꼭 신경써야 할 것들 3 자 이제 마지막으로 아파트 도색의 마지막은 5. 기타 부대시설 페인트 칠. 기타 부대시설이라 함은 아파트 단지 안에 있는 다양한 부대시설들을 이야기 한다. 크게는 관리사무실이나 노인정이 있는 다른 시설물이 될 수도 있고 소소하게는 벤치나 정자 등 페인트칠이나 녹막이칠을 바르는 것들을 포함한 모든 칠을 말한다. 보통 기다부대시설 페인트 칠을 이야기하면 어린이 놀이터나 체육시설의 칠도 포함되는 줄 아는 사람들도 있는데 그건 아니다. 특히나 체육시설의 칠등은 하지 않는다. 왜냐면 이미 처음에 열도장을 해서 나온 것들이기 때문에 한 번 색깔있는 부분이 까지기 시작하면 그걸 전부다 사포로 밀고 다시 색을 입혀야 하기에 페인트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아파트 단지 주변을 감싸고 있는 울타리 역시 도색업자들이 참으.. 2023. 9. 6.
우리 아파트가 도색, 즉 외벽 페인트칠을 한다면 ... 세대에서 꼭 신경써야 할 것들 2 3. 크랙보수 아마 아파트 도색한다고 하면 저런식으로 아파트에 마구마구 하얀색 칠을 해 놓은 걸 보게 될 것이다. 그게 바로 크랙 보수인데. 아파트 외벽은 콘크리트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노후가 되어 크랙들이 발생한다. 전 편에서도 이야기 했었지만 사실 아파트 도색의 이유는 크랙 보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이 크랙 보수는 아주 중요하다. 그래서 이런 크랙에 어떤 퍼티제를 쓰느냐도 중요하기 때문에 퍼티제 명칭이 입찰에 들어가기도 하고, 또 실제로 몇 번 바르냐도 크랙 보수와 관련이 있기에 처음엔 회색, 두번째는 흰색 이렇게 색깔을 구분해서 발라주기도 한다(그래야 몇 번 퍼티질을 했는지 알기 때문에) 사실 외벽의 크랙부분은 크지 않고서야 외부에서 뭐 밑에서 보면 잘 찾아낼 수가 없다. 하지.. 2023. 8. 3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