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나혼자 산다에는 '어쩌다 해피엔딩' 으로 토니상 6관왕을 휩쓴 박천휴 작가와 기안84의 미라클 모닝 루틴이 방송을 탔다.
특히 박천휴 작가의 경우 오랫동안 미라클 모닝을 실천하며 시간이 날 때마다 독서로 생각의 근육을 키우고, 근력 운동으로 탄탄한 체력을 챙기는 그의 모습이 감탄을 자아냈다.
사실 미라클 모닝(Miracle Morning)은 아침 시간을 의도적으로 활용해 자기계발과 하루의 컨디션을 끌어올리는 습관을 말한다.
그렇다면 미라클 모닝 어떻게 시작하고 유지해야 할까?
✅ 미라클 모닝 시작하는 법
1. 작게 시작하기
- 처음부터 새벽 5시에 일어나려고 하지 말고, 평소 기상 시간보다 30분만 일찍 일어나보자.
- 꾸준함이 우선
2. 루틴 정하기 (SAVERS 원칙 활용)
미라클 모닝 창시자 할 엘로드가 제안한 루틴은 다음 6가지.
- Silence(명상, 호흡) : 마음을 차분히 시작
- Affirmation (자기 확언) : 긍정적인 말로 자기 세팅
- Visualization (시각화) : 목표를 떠올리며 동기부여
- Exercise (운동) : 가벼운 스트레칭, 요가, 홈트
- Reading (독서) : 10분만이라도 책 읽기
- Scribing (글쓰기) : 다이어리, 감사일기
3. 전날 준비하기
- 아침에 고민하지 않게 책, 노트, 운동복을 미리 꺼내놓기
- 자기 전 휴대폰을 멀리하고, 기상시 알람은 침대에서 떨어진 곳에 두기
4. 루틴 길이 조절
- 시간이 없으면 5분 명상, 5분 운동, 5분 독서처럼 15분 버젼으로도 가능
- 중요한 건 "매일 조금이라도 하기"
✅ 유지하는 법
- 습관화: 일어나자마자 자동으로 하게끔 순서를 정해두자. (예: 기상 → 물 한잔 → 스트레칭 → 명상)
- 작은 성취감 기록: 체크리스트나 달력에 표시 → 눈에 보이는 성취가 동기부여.
- 동기부여 장치: 좋아하는 음악, 아침만의 특별한 커피잔 같은 “나만의 아침 의식” 만들기.
- 탄력적으로 운영: 너무 지키지 못했다고 자책하지 말고, 짧게라도 하면 성공으로 인정하기.
🌟 미라클 모닝 실천하는 대표 연예인
- 김혜수 : 새벽에 일어나 독서와 자기 관리에 집중한다고 알려짐.
- 아이유 : 작업할 때 새벽 시간을 활용하는 편으로, 자기계발 루틴을 갖고 있음.
- 김연아 : 선수 시절 새벽 훈련과 루틴으로 자기관리의 아이콘.
- 박진영(JYP) : 매일 새벽에 운동·독서·명상 루틴으로 유명.
- 유재석 : 아침 일찍 일어나 자기관리와 준비 습관을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짐.
👉 특히 박진영은 미라클 모닝 대표 주자로 꼽히는데, “새벽 4시에 기상해 영어·독서·작곡·운동을 한다”며 꾸준히 실천 중이라고 여러 인터뷰에서 밝혔다.
하지만, 미라클 모닝”이 워낙 유행하다 보니, 반대로 비판이나 대안적 개념도 있다.
🌙 미라클 모닝의 반대 개념
1. 나이트 루틴 (Miracle Night / 미라클 나잇)
- 아침보다는 밤 시간을 활용해서 자기계발이나 휴식에 집중하는 방식.
- 야행성인 사람이나 창작자들이 주로 선호.
- 예: 밤 10시 이후 핸드폰 대신 독서, 글쓰기, 명상, 운동 등.
2. 슬로우 모닝 (Slow Morning)
- 일부러 늦게 일어나고 여유롭게 아침을 보내는 것을 강조.
- 빨리 일어나 성과를 내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자신의 리듬에 맞춰서 시작하는 것”이 핵심.
3. 미라클 모닝 비판
- 수면 부족 문제: 무리하게 일찍 일어나면 오히려 건강 해침.
- 개인 차이 무시: 모두가 아침형 인간일 필요 없음. (야행성도 생산적일 수 있음)
- 성과 지상주의: 쉬는 시간마저 자기계발로 채워야 한다는 압박감.
🧑🎤 “미라클 모닝 반대파” 연예인 사례
• 박명수 : 방송에서 “아침형 인간은 신이 내린 게 아니라, 그냥 일찍 잘 뿐”이라며 일찍 일어나기 강박을 부정적으로 언급.
• 아이돌·뮤지션 다수 : 작업 특성상 새벽 감성에 곡 작업을 하거나 밤 시간을 더 소중히 여기는 경우 많음 (아이유, 방탄 RM도 새벽 작업파).
👉 즉, 미라클 모닝의 반대는 “아침보다 자기 생체리듬에 맞춰 밤 시간을 활용하거나, 아예 여유롭게 시작하는 라이프스타일“이라고 보면 된다.
'내가 생각하는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 내 괴롭힘은 무엇이며 도움을 받는 방법. (11) | 2025.09.02 |
---|---|
강릉 물부족사태 재난인가 vs 인재인가? (3) | 2025.09.02 |
맞벌이 부부의 현실 (11) | 2025.08.29 |
수업 중 스마트폰 금지법 내년 1학기부터 시행 (6) | 2025.08.27 |
한국 대학교 순위 (분야별) (13) | 2025.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