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고학년 수학(4~6학년)은 중학교 수학으로 자연스럽게 넘어가기 위한 개념 정리와 논리적 사고력을 키우는 시기라고 한다.
아직 엄마표 수학을 하고 있는 터라 항상 이게 맞는 방법인지 헷갈리기도 하는데
그럼에도 뭔가 학원가서 전기세나 내주는 학생으로 만들고싶지는 않아
나름 노력하고 있다.
내가 아이와 함께 공부하는 방법은
“개념 → 사고력 → 문제 적용”의 흐름을 잡고, 아이가 스스로 생각하고 설명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핵심인데
이게 복식호흡이 많이 필요하다. (물론 자꾸 반복되면 결국 소리를 좀 지르게 되는 단점이 ㅠㅠ)
아무튼 고학년 수학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
✅ 1. 개념은 정확하게, 얕지 않게
고학년 수학은 단순 계산보다 개념 이해가 핵심.
특히 중요 단원
- 분수/소수의 사칙연산
- 비와 비율
- 도형의 성질 (각도, 평면도형, 입체도형)
- 약수/배수
- 비례식, 비례배분
- 간단한 방정식
방법
- 개념을 스스로 말하게 해야한다. ("왜 그렇게 계산했어?" "이게 무슨 뜻이야?")
- 틀렸을 때는 바로 정답보다 왜 틀렸는지 이유를 생각하게 유도
활용 교재/사이트
- 《최상위수학 개념편》, 《우공비 개념》
- 디지털교과서 (https://webdt.edunet.net)
- 수학나무, 프린트학습지 등
✅ 2. 사고력 수학: 스스로 생각하는 힘 키우기
고학년부터는 문제를 ‘어떻게 풀까’ 스스로 생각하고 전략을 세우는 게 중요하다.
어떻게 도와줄까?
- 답을 말하기 전에, 생각 과정을 설명하게 하기
- “왜 이 방법을 썼어?”
- “다른 방법으로 풀 수 있을까?”
- 다양한 풀이 방법 열어주기
- 문제를 바꿔서 아이에게 출제하게 하기 (문제 만들기)
사고력 문제 예시
- “전체가 12이고, 그중의 2/3은 무엇인가요?” → 쉬운 문제지만,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하게 해보기 (그림, 수직선, 분수식)
활용 교재
- 《디딤돌 초등 사고력 수학》
- 《큐브수학S 사고력》
- 《오일러 수학》, 《아이큐점프》 등
✅ 3. 문제풀이 훈련: 반복보다는 전략 있게
주의할 점
- 양으로 승부하지 말고, 틀린 문제를 반드시 개념까지 거슬러 올라가 복습 중요.
- 문제의 유형을 외우지 말고, 왜 그런 풀이가 나오는지 이해하게 하기
효과적인 반복 방법
- 틀린 문제는 다시 출제해서 풀게 하기
- 잘 틀리는 유형은 유사문제로 리마인드
교재 추천
- 《최상위 수학》 심화
- 《숨마 주니어 초등수학》
- 《하이라이트 개념+유형》
✅ 4. 공부 습관 만들기
고학년부터는 혼자 앉아 계획 세우고 공부하는 연습도 중요.
습관 잡는 팁
- 주간 계획표 + 학습 점검표 활용
- 하루 30분~1시간, 집중도 높은 짧은 시간 집중
- ‘질문하는 습관’을 키우기 (“오늘 뭘 새로 배웠어?” “어디서 헷갈렸어?”)
✅ 5. 엄마표의 역할: 코치이자 조력자
“답을 알려주는 사람”이 아니라 “질문을 던지는 사람”이 되어야한다.
예시 질문
- “이 문제에서 어떤 정보가 주어졌어?”
- “문제를 그림으로 그려보면?”
- “이건 무슨 뜻이야?”
엄마표로 지도할 때 아이가 막힐 때는 도와주되, 답을 알려주는 대신 사고할 수 있도록 힌트를 주는 것이 중요하다.
사실 초등 고학년 때 수포자가 생성된다는 이야기가 참 많다.
생각해 보면 아이가 도형이나 분수 소수 등 새롭게 접하는 게 많다보니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지 않고
그냥 푸는데만 집중해서 그런 것 같다.
아이가 좀 더 집중하고 풀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주고
엄마도(나도) 차분히 알려줄 수 있어야 할 것 같다.
그리고 고학년 수학 공부의 핵심
무조건 이제 수학노트에 식을 정확히 쓰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여기저기 막 쓰다가 결국엔 답까지 틀리게 쓰는 경우가 너무 많다. 특히 남자아이들
수학 노트 하나 만들어서 식은 거기에 잘 쓸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하겠다.
'두 형제 키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학교 5학년 이제는 잡아줘야 하는 생활습관!!!! (9) | 2025.08.17 |
---|---|
점점 자기 주장이 강해지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이들과 대화하는 법 (22) | 2025.08.16 |
더워지기 전에 아이들과 함께 소래산 등산 추천!! (2) | 2025.06.05 |
초등학생의 취미생활 (고학년 vs 저학년) (14) | 2025.04.02 |
제 3회 전국 동시쓰기 공모전-인천 읽걷쓰 - 동시잘쓰는법 (3)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