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가 생각하는 것들

얼마전 태계일주의 그 네팔 맞아? 네팔 폭동!!

by 다소곳이20 2025. 9. 11.
728x90
반응형

 

네팔 폭동이 점점 격화되고 있다.

참을 수 없는 부패와 견디기 힘든 빈곤에 네팔 Z세대가 나섰다.

 

출처: 로이터 연합뉴스

 

주요 원인 (Trigger 및 근본 이슈)

  • SNS 차단 조치
  • 네팔 정부는 2025년 9월 4일,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X 등 26개 주요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등록 요건(연락 담당자 지정 및 국내 등록) 미이행을 이유로 전면 차단했다
  • 이 조치는 허위 정보, 증오 발언, 사기 등의 예방을 위해 필요하다는 정부 해명이 있었지만, 젊은층은 이를 표현의 자유 억압으로 받아들였다
  • 부패, 정치적 불신, 경제적 불안정, 실제 네팔은 부패지수 180개국 중 107위로 일자리가 부족해 매일 2천명 이 나라를 떠나고 있지만, 특권층 자녀는 호화 생활을 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 소셜미디어 차단이 직접적인 도화선이었지만, 그 밑에는 부패 척결 미흡, 정치적 불안정성, 청년 실업·기회 부족 등의 구조적 문제가 누적된 상태였다
  • 특히 정치 엘리트 자녀인 ‘nepo babies’의 호화로운 삶이 온라인에서 공개되며 분노가 확산되었다.

 

전개 과정 및 결과

  1. 대규모 시위 발생
  2. 수도 카트만두를 중심으로 여러 도시에서 수천 명이 거리로 나왔고, SNS 차단 및 부패 반대 시위를 벌였다.
  3. 충돌과 유혈 사태
  4. 시위대가 의회 건물로 진입하려 하자 경찰은 최루탄, 고무탄, 물대포, 곤봉을 동원해 진압에 나섰고, 일부 지역에선 실탄도 사용되어 최소 19명이 사망하고 수백 명이 부상당했다.
  5. SNS 차단 해제와 조치
  6. 정부는 여론 압력에 밀려 차단된 SNS를 해제했습니다. 또한 시위 진압 관련 책임자 처벌을 위한 조사위원회를 구성하고 보상 계획도 발표했다.
  7. 정부 총리 사퇴
  8. K.P. 샤르마 올리 총리는 정치적 압박 속에 사임했다. 동시에 의회 건물 방화 등으로 인해 비상사태 같은 상황이 심각해지면서 군이 배치되었고, 수도에는 통행금지령(curfew)이 내려졌다.

 

현재 상황 (현황)

  • 사상자 및 피해 상황
  • 시위 진압 과정에서 사망자 수는 최소 25명 이상, 부상자는 600명 이상으로 집계
  • 이 중 경찰의 실탄 사용으로 19명 이상의 사망이 발생했다고 보도되었다
  • 폭력과 혼란의 확산
  • 시위대는 부패와 사회적 불평등에 항의하며 의회 건물, 국회의사당, 미디어 본사 등을 포함한 정부 자산에 방화 및 약탈을 저질렀으며, 약 13,500여 명의 수감자들이 탈옥하기도 했다
  • 비상 대응 및 정치적 변화
  • 군이 투입되어 도시 봉쇄와 통행금지령을 시행했으며, 네팔 군은 수도 카트만두 곳곳을 순찰하고 있다
  • KP 샤르마 올리 총리는 사퇴했고, 전직 대법관 수실라 카르키를 임시 지도자로 지명하자는 제안도 있다
  • SNS 차단 해제와 대책 마련
  • 정부는 SNS 차단을 해제하고, 시위로 인한 사망자 보상, 부상자 치료 지원, 조사위원회 구성 등의 조치를 발표했다
  • 정부 시스템 개혁 요구 확산
  • 시위대는 이제 단순한 SNS 차단 반대를 넘어 새 헌법 제정, 의회 해산, 투명하고 책임있는 정치 시스템 구축 등의 요구로 운동을 확장 중.

 

출처: AP/뉴시스

 

"하루빨리 네팔에도 합리적인 평화가 찾아오길 바래본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