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9월 18일 “한강을 가로지르는 친환경 수상 대중교통” 인 한강버스가 운행된다.
서울시의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 중 하나인 한강버스
과연 어떻게 운행될까?
🛶 한강버스 개요
항목
|
내용
|
운항 구간
|
마곡 ↔ 망원 ↔ 여의도 ↔ 옥수 ↔ 압구정 ↔ 뚝섬 ↔ 잠실, 총 7개 선착장, 약 28.9km 구간 운항
|
선박 종류
|
친환경 선박: 하이브리드 선박 8척, 전기 선박 4척. 하이브리드는 기존 디젤 선박 대비 CO₂ 배출을 약 52% 줄인다고 함. 전기 선박은 CO₂ 배출이 없는 설계.
각 선박에는 경복궁호, 남산서울타워호, DDP호, 세빛섬호 등 서울의 역사, 건축·디자인, 문화·관광을 대표하는 이름을 붙였고 선박 이름을 딴 명소 배경의 포토존도 설치해 새로운 즐길거리를 제공한다. |
운항 시간 / 횟수
|
· 초기 정식운항: 오전 11시 ~ 오후 9시 37분, 하루 14회 운항, 주중/주말 모두 1시간~1시간 30분 간격
· 추석 연휴 이후 ~ 10월부터는 출퇴근 시간 급행 노선 도입, 평일 왕복 30회로 증편 예정 · 연내에는 선박을 추가하여 하루 48회 운항 목표도 있음. |
요금
|
1회 기본요금 3,000원. 기후동행카드 같은 특별요금제가 있어서 횟수 제한 없이 이용 가능한 패스형 옵션 있음. 대중교통 환승할인 적용됨. 현금결제는 불가능함.
|
편의 시설 / 접근성
|
· 자전거 거치대, 휠체어석, 교통약자 배려석 등 옵션 있음.
· 모든 선착장에 따릉이 대여소 설치, 선착장 주변 버스노선 조정 또는 신설 중. 마곡·잠실·압구정 3개 선착장은 지하철역 등과 연결하는 무료 셔틀버스 운행 예정. · 선내 카페테리아, 와이파이, 풍경 조망 가능 등 쾌적성 고려됨. |

⚠️ 논란 및 과제
- 소요 시간
- 예를 들어 마곡 ↔ 잠실 구간은 시속 22~23km 속도로 운항할 예정인데, 정식 운항 초기 일반 노선으로는 약 127분 걸릴 것으로 예상됨. 급행 노선은 좀 더 빠르게 가지만, 시간 부담이 있음.
- 대중교통으로서의 실용성 우려
- 일부에서는 ‘이 사업이 대중교통이라기보다는 관광 사업에 더 가까울 것’이라는 지적도 있음. 예컨대 출퇴근 시간대 버스/지하철과의 이동 연계 등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옴.
- 접근성 문제
- 선착장에서 지하철역 등으로의 연결 거리, 버스 노선/셔틀 연결 여부 등이 시민체험 운항 중 불편으로 지적됨.
- 안전성 확보
- 선박 건조(신생 조선회사 관련)나 운항 시 자연환경 제약(수심, 날씨 등) 등이 논란이 되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시운전, 안전검사, 운항 인력 교육 등이 이루어짐.
🌱 의미 및 기대효과
- 기존의 도로/지하철/버스 중심 대중교통만으로는 풀기 힘든 교통 혼잡과 지상 교통의 제약(도로 혼잡, 주차 등)의 보완 수단으로 활용 가능.
- 한강의 수변 공간을 교통 인프라로 활용함으로써 도시 공간의 다양성 증대.
- 친환경 선박 도입으로 탄소 배출 저감, 대기오염 감소 효과 기대됨.


728x90
반응형
'내가 생각하는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을 줄 모르는 금값. 이제라도 시작해 보고 싶다면!! (3) | 2025.09.18 |
---|---|
나혼산의 먹잘알 이장우 카레집 폐점? (6) | 2025.09.17 |
요즘 달리기가 대세. 가족과 함께하는 마라톤 추천 (1) | 2025.09.15 |
KT 소액결제 피해 사례 대처방법 (4) | 2025.09.11 |
얼마전 태계일주의 그 네팔 맞아? 네팔 폭동!! (10) | 2025.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