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가 생각하는 것들

타이레놀 효과와 부작용 (with 자폐증)

by 다소곳이20 2025. 9. 24.
728x90
반응형

트럼프 대통령의 임신 중 타이레놀 복용이 자폐증을 가진 아이를 낳을 수 있다라는 발언에

미국 아니 전세계가 발칵 뒤집혔다.

9월 22일(현지시간)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보건부 장관과 함께한 백악관 행사에서 “타이레놀 복용은 좋지 않다. 반드시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임산부들은 극도로 사용을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극심한 고열일 때만 복용해야 하며, 그마저도 극히 드물게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산부들은 안 그래도 아파도 먹을 진통제가 없는데

타이레놀을 먹으면 자폐증을 가진 아이를 낳을 수 있다니

정말 청천벽력이다. 

 

타이레놀(Tylenol)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진통제 및 해열제 중 하나로, 주성분은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또는 파라세타몰(paracetamol)이다. 이 약은 비교적 안전한 약으로 알려져 있지만 당연히 부작용도 존재한다. 

 

출처: 세계일보

🕰️ 타이레놀의 역사

  • 1880년대 후반: 아세트아미노펜과 유사한 구조의 화합물이 독일에서 처음 합성됨.
  • 1955년: 미국의 제약회사 맥닐(McNeil Laboratories)에서 ‘Tylenol’이라는 이름으로 아세트아미노펜을 브랜드화하여 출시. 처음에는 어린이용 시럽으로 판매.
  • 1970년대~현재: 진통·해열제로 널리 사용되며, 처방전 없이 구입 가능한 일반의약품(OTC)으로 자리잡음.
  • 2000년대 이후: 간 독성 이슈로 인해 복용량 기준 강화, 경고 문구 확대.

 

💊 효과 (효능)

 

타이레놀의 주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진통 효과
    • 두통, 생리통, 근육통, 치통, 관절통 등에 사용
    • 비교적 경미하거나 중간 정도의 통증에 효과적
  2. 해열 효과
    • 발열 시 체온을 낮추는 데 효과적
  3. 항염 작용은 없음
    • 이부프로펜이나 아스피린과 달리, 항염 작용은 거의 없음
    • 염증이 주된 원인인 통증(예: 관절염)에는 덜 효과적일 수 있음

 

⚠️ 부작용 및 주의사항

 

일반적인 부작용 (드물지만 가능성 있음)

  • 메스꺼움, 구토
  • 위장 장애
  • 발진, 가려움

심각한 부작용

특히 과다 복용 시 문제가 심각해질 수 있다.

1. 간 손상 (간 독성)

  • 아세트아미노펜의 가장 큰 위험 요소
  • 하루 최대 복용량: 성인 기준 약 4,000mg
  • 술을 자주 마시거나 간 질환이 있는 사람은 더 적게 복용해야 함
  • 간 손상 초기 증상: 구역질, 식욕 부진, 피로, 복통

2. 알레르기 반응

  • 호흡 곤란, 얼굴·입술·목의 부종, 심한 발진 등
  • 드물지만 아나필락시스 같은 심각한 알레르기 가능

3. 약물 상호작용

  • 와파린(혈액 희석제) 등과 함께 복용 시 출혈 위험 증가
  • 알코올과 병용 시 간에 부담 증가

 

✅ 안전하게 복용하려면?

  • 용량 지키기: 성인 하루 최대 4,000mg 넘기지 않기
  • 다른 약과 중복 확인: 감기약, 복합진통제에도 아세트아미노펜이 들어있을 수 있음
  • 알코올 주의: 복용 전후 음주 자제
  • 장기 복용 피하기: 증상이 지속되면 의사 상담

 

 

 


그렇다면 타이레놀과 자폐증의 연관성은 과연 있을까?

사실 이 주장에 대한 연구는 오랫동안 진행 중이다. 

🔍 주장 배경: 타이레놀과 자폐증의 연관성?

1. 관찰적 연구들

  • 몇몇 연구에서는 임신 중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사용과 아이의 발달 문제(예: 자폐증, ADHD) 사이에 통계적으로 약한 상관관계를 발견했다.
  • 특히, 아세트아미노펜이 임신 중 장기간 또는 고용량으로 사용되었을 때, 발달 장애의 위험이 약간 증가할 수 있다는 연구들이 있음.

2. 가능한 이론적 기전 (가설 수준)

  • 아세트아미노펜이 산화 스트레스, 신경 염증 반응, 호르몬 대사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설
  • 이론일 뿐, 실제 인간에게 어떻게 작용하는지는 불확실

 

🧪 과학계의 현재 입장

인과관계는 입증되지 않음

  • 대부분의 연구는 관찰적 연구이기 때문에, ‘원인-결과’를 증명할 수 없다.
  • 예를 들어
    • 아세트아미노펜을 복용한 임산부가 이미 어떤 감염이나 염증(예: 열, 독감 등) 때문에 복용한 것일 수도 있고,
    • 그런 감염 자체가 자폐 위험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도 있음

 

⚠️ 연구들 간 결과가 일관되지 않음

  • 어떤 연구는 연관이 있다고 보고하고,
  • 어떤 연구는 연관성이 없다고 결론 내림

 

🌐 FDA, WHO 등 공식 입장

  • 현재 미국 FDA, 유럽 EMA, WHO 등은
    • 다만, 최소 용량으로, 가능한 짧은 기간 동안만 사용하라고 권장
  • “임신 중 필요한 경우, 단기적으로 아세트아미노펜을 복용하는 것은 여전히 안전하다”

 

📌 결론


항목 내용
🔗 연관성 주장 일부 연구에서 통계적 연관성 제기
📉 증거 수준 인과관계를 증명하지는 못함 (관찰적 연구)
🧬 메커니즘 아직 과학적으로 확실히 규명되지 않음
🏛️ 공식 권고 아세트아미노펜은 필요 시 제한적으로 사용 가능 (의료진과 상담 권장)

 

✅ 임산부 복용 시 주의사항

  • 꼭 필요할 때만 사용
  • 가능하면 1~2일 이내의 단기 복용
  • 복용 전 반드시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

 

결국 과복용이 문제라는 건데

임산부들이 안전하게 먹을 수 있는 약은 결국 없는 것이다. 

임신 했을 때는 정말 주변에서도 본인도 모두 조심해줘야 겠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