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가 생각하는 것들

정부지원 가사도우미 제도 - 지자체별 차이 있음

by 다소곳이20 2025. 4. 7.
728x90
반응형

 
정부지원 가사도우미 제도는 일정 기준에 해당하는 가정에 정부가 가사도우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이다.
주로 노인, 장애인, 한부모 가정, 맞벌이 가정, 저소득층 등을 대상으로 하며,
지자체별로 운영방식이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밑에 내용을 확인한 뒤 각자의 지자체에 들어가 정부지원 가사도우미 제도를 신청하면된다.

 1. 정부지원 가사도우미 주요 대상 

• 장애인 가정: 활동지원 서비스의 일환으로 가사 지원 가능
• 노인 가정: 독거노인,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대상
• 한부모 가정: 일정 소득 이하 가구에 가사서비스 제공
• 맞벌이 가정: 아이돌봄서비스와 연계
• 저소득층: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 서비스
 

 2. 주요 서비스 항목 

• 청소, 세탁, 식사준비, 설거지, 정리정돈 등
• 일부는 아이돌봄, 병원 동행, 간단한 장보기까지 포함됨
 
 

3. 이용 방법

1.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사이트에서 신청
2. 기초조사 및 상담 후 대상 여부 판정
3. 서비스 제공기관과 연계하여 도우미 파견
4. 본인부담금은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부과 (일부 또는 전액 지원)
 
 

 4. 대표 서비스 예시 

 
▶️ 아이돌봄서비스 (여성가족부)
• 만 12세 이하 자녀를 둔 가정 대상
• 시간제/종일제 선택 가능
• 정부지원 비율: 소득 수준에 따라 15%~85% 지원
 
▶️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보건복지부)
• 65세 이상 독거노인 대상
• 일상생활 지원, 말벗, 청소 등
 
▶️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 신체활동, 가사활동, 외출보조 등
• 월 지원시간에 따라 서비스 조정 가능 
 

 5. 주의사항 

• 사설 가사도우미와는 달리 서비스 시간 및 내용이 제한적일 수 있음
• 대기자 많을 수 있음, 신청 후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음
 

 

사실 뭐 맞벌이는 한다 해도 가사도우미는 생각도 못해봤다. 

예전에 아이를 낳았을 때 집 청소나 정리가 되지 않아 일해 주시는 분을 가끔 불러서 청소만 도움을 좀 받았던 적은 있었어도..

하지만 항상 이게 문제인게

참 믿음이 안 간다. 집안을 오픈해야 한다는게 항상 부담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정부가 지원을 해 준다니 다소 믿고 그리고 금액적인 면에서도 조금 덜 부담스럽게 이용이 가능할 것 같다. 

다만 지역 별 신청자를 받다보니 신청자가 많은 지역은 다소 느리게 그리고 금액적인 부담도 더 될 수 있다는 것..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