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원 가사도우미 제도는 일정 기준에 해당하는 가정에 정부가 가사도우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이다.
주로 노인, 장애인, 한부모 가정, 맞벌이 가정, 저소득층 등을 대상으로 하며,
지자체별로 운영방식이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밑에 내용을 확인한 뒤 각자의 지자체에 들어가 정부지원 가사도우미 제도를 신청하면된다.
1. 정부지원 가사도우미 주요 대상
• 장애인 가정: 활동지원 서비스의 일환으로 가사 지원 가능
• 노인 가정: 독거노인,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대상
• 한부모 가정: 일정 소득 이하 가구에 가사서비스 제공
• 맞벌이 가정: 아이돌봄서비스와 연계
• 저소득층: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대상 서비스
2. 주요 서비스 항목
• 청소, 세탁, 식사준비, 설거지, 정리정돈 등
• 일부는 아이돌봄, 병원 동행, 간단한 장보기까지 포함됨
3. 이용 방법
1.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사이트에서 신청
2. 기초조사 및 상담 후 대상 여부 판정
3. 서비스 제공기관과 연계하여 도우미 파견
4. 본인부담금은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부과 (일부 또는 전액 지원)
4. 대표 서비스 예시
▶️ 아이돌봄서비스 (여성가족부)
• 만 12세 이하 자녀를 둔 가정 대상
• 시간제/종일제 선택 가능
• 정부지원 비율: 소득 수준에 따라 15%~85% 지원
▶️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보건복지부)
• 65세 이상 독거노인 대상
• 일상생활 지원, 말벗, 청소 등
▶️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 신체활동, 가사활동, 외출보조 등
• 월 지원시간에 따라 서비스 조정 가능
5. 주의사항
• 사설 가사도우미와는 달리 서비스 시간 및 내용이 제한적일 수 있음
• 대기자 많을 수 있음, 신청 후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음
사실 뭐 맞벌이는 한다 해도 가사도우미는 생각도 못해봤다.
예전에 아이를 낳았을 때 집 청소나 정리가 되지 않아 일해 주시는 분을 가끔 불러서 청소만 도움을 좀 받았던 적은 있었어도..
하지만 항상 이게 문제인게
참 믿음이 안 간다. 집안을 오픈해야 한다는게 항상 부담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정부가 지원을 해 준다니 다소 믿고 그리고 금액적인 면에서도 조금 덜 부담스럽게 이용이 가능할 것 같다.
다만 지역 별 신청자를 받다보니 신청자가 많은 지역은 다소 느리게 그리고 금액적인 부담도 더 될 수 있다는 것..
'내가 생각하는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직도 MBTI? 응 여전히 MBTI^^ 그럼 혈액형은? (0) | 2025.04.10 |
---|---|
일반인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AI 프로그램 소개 (10) | 2025.04.08 |
4/4 대통령 탄핵 이후 대통령 선거 일정 (1) | 2025.04.04 |
5월 8일 어버이날 선물 (feat. 부모님 생일 선물) (8) | 2025.04.03 |
2025년 5월 황금연휴 준비하기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16) | 2025.04.03 |